아내도 남편이 총격으로 살해당한 줄로만 깜박 속았다. 남편을 암살하려는 러시아의 음모를 분쇄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지만 과연 온당한 일일까?
지난 29일(이하 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의 자택 아파트 입구에서 등에 총알 세 발을 맞고 살해된 것으로 보도됐던 러시아 반정부 언론인 아르카디 바브첸코(41)가 24시간도 안돼 우크라이나 보안국의 TV 기자회견에 멀쩡한 몸으로 나타나 세계를 놀라게 했다.
바실리 그리착 우크라이나 보안국장은 기자들에게 바브첸코 사건 경위에 대한 브리핑을 하다 “특수 작전을 통해 바브첸코에 대한 살해 시도를 차단했다. 바브첸코 가족들에게 위로를 표시했어야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겠다”면서 바브첸코를 연단으로 초대했고, 곧이어 바브첸코가 모습을 드러냈다.
그리착은 바브첸코를 살해하려 한 자들을 붙잡기 위해 그가 죽은 것처럼 꾸몄다고 설명했다. 바브첸코는 전날 아파트 입구에서 총에 맞은 상태로 아내 올가의 눈에 발견돼 병원으로 후송되던 중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알고 보니 그는 아내에게도 미리 얘기하지 않아 아내는 정말로 남편이 총격을 받아 목숨이 경각에 달해 앰뷸런스에 실려간 뒤 사망한 것으로 알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그는 회견 도중 아내에게 “끔찍하게 미안하다”며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용서를 빌었다.
그리착 국장은 “바브첸코 살해는 러시아 정보기관에 포섭된 우크라이나인이 주문했다”면서 “주문자는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내전에 함께 참여했던 친구 중 한 명에게 살해 대가로 3만 달러(약 3200만 원)를 약속하고 1만 5000 달러를 선불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키예프에서 주문자를 체포했으며 그가 우크라이나에서 바브첸코를 포함해 30명을 살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고 덧붙였다.
바브첸코는 “해냈다. 난 아직 살아있다. 수많은 친구와 동료들을 묻어봐 얼마나 마음 아플지 안다. 여러분에게 이런 경험을 하게 해 유감이다. 하지만 다른 방법이 없었다”고 말했다. 몇시간 뒤 트위터에 자신은 “96세까지 살 것”이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묘 위에서 춤출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국경 없는 기자회는 “한심한 스턴트”라고 공박했다. 크리스토프 들로이르 회장은 “우크라이나 경찰이 진실인 것처럼 연기를 했다는 것은 동기가 무엇이었든간에 한심하고 개탄할 일”이라고 말했다. 언론인보호 위원회는 당국이 “극단적인 조치를 취해야 했던 이유가 무엇인지”를 설명해달라고 요구했다. 바브첸코의 동료였으며 탐사 전문기자인 안드레이 솔다토프는 “선을 넘어도 한참 넘었다”고 가세한 뒤 “바브첸코는 기자지 경찰관이 아니다. 우리의 임무는 진실이다. 트럼프와 푸틴이 가짜뉴스에 대해 뭐라고 얘기했든간에. 그가 살아있어 다행이긴 하지만 언론인과 매체의 신뢰성을 손상시켰다”고 지적했다.
역시 기자며 친구인 사이먼 오스트로프스키는 “분노와 안도를 똑같은 무게로” 느끼고 있다며 “어제는 믿을 수 없을 만큼 암울했고 오늘은 솔직히 화가 치민다. 우리 모두 현혹 당해 우리 친구가 죽었다고 믿었다”고 말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러시아 반정부 성향 기자로 러시아의 암살 음모를 분쇄하기 위해 가짜 살해극에 동조한 아르카디 바브첸코가 3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보안국 기자회견 도중 감정이 복받쳤는지 눈물을 참으려 하고 있다. 키예프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러시아 반정부 성향 기자로 러시아의 암살 음모를 분쇄하기 위해 가짜 살해극에 동조한 아르카디 바브첸코가 3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보안국 기자회견 도중 감정이 복받쳤는지 눈물을 참으려 하고 있다. 키예프 AP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