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 단독 대응으로는 한계 있다’ 지적도재무성·금융청·일본은행 합동회의 열어 대응책 모색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때문에 엔화가치가 급등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일본의 대응책이 주목된다.외환시장 개입, 일본은행의 추가 금융완화, 경기부양 자금 확대 등의 방안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
브렉시트 가결의 영향으로 24일 엔화가치가 달러당 99엔까지 오르는 등 급격한 엔화 강세 기조가 나타나면서 가장 주목받은 것이 당국에 의한 엔화 매도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급격한 엔화가치 변동에 관해 “필요에 응해 대응하겠다”고 말했으며 이는 개입을 시사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개입은 재무상의 결정에 따라 일본은행이 시장에서 통화를 매매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최근 일본 정부가 문제시하고 있는 엔화 강세·달러 약세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일본은행은 엔화를 팔고 달러를 사들일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2011년 11월에 엔화가치가 1달러에 75엔대까지 오르며 전후 최고치를 기록하자 외환시장에 개입한 바 있다.
하지만 수요가 폭증해 엔화가치가 급격하게 오르는 상황에서 타국의 협력 없이 일본 정부 혼자 외환시장 개입해 실질적인 효과를 내기는 쉽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다음 달 28∼29일 예정된 일본은행의 금융정책 결정회의 때 추가 완화 조치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일각에서는 27일 이후 일본 시장에서 엔화 급등 및 주가 하락이 이어지면 일본은행이 임시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모색할 수도 있다고 관측한다.
일본은행의 선택지로는 마이너스 금리 폭을 확대하거나 국채 매입을 늘리는 방안, 상장지수펀드(ETF) 매입 규모 증액 등이 거론된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일본은행이 올해 초 도입한 마이너스 금리에 관해 “우려를 키우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개인도 기업도 지출이나 투자계획을 동결하고 있다”는 반발이 나온다며 일본은행의 추가 대응책이 제한돼 있다고 평가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은 경기 부양책 마련에 역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10조 엔(약 114조6천680억원) 이상을 투입하는 경제대책을 올해 하반기에 마련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기존에는 5조 엔(약 57조3천340억원) 규모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므로 이를 두 배로 확대하는 셈이다.
여기에는 상품권 지급 등으로 소비를 자극하는 구상과 보육사의 급여를 올려 육아를 지원하는 방안, 정부 계열 금융기관을 통해 민간 기업에 대한 융자를 확대하는 계획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25일 오후 재무성, 금융청, 일본은행 간부가 참석하는 합동회의를 열어 브렉시트 충격에 대응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회의에서 당국자들은 은행의 달러 자금 조달에 지장이 없도록 일본은행이 필요에 따라 공급을 늘리고 엔화가 급등할 때 개입하는 것도 고려하기로 했다.
또 시장의 동향을 주시하고 수시로 정보를 공유하며 필요하면 다시 회의를 소집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