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여의도 국회 앞 시위 현장에는 키즈버스가 있었다. 기저귀와 간식, 수유 공간으로 채운 버스는 육아맘들의 작은 해방구가 됐다. 아이와 함께 시위에 참여할 수 있다는 희망은 그 자체로 새로운 시민 문화의 탄생을 예고했다. 누구에게나 열린 시위에 모인 참가자들은 서로의 처지와 계층은 제각각이지만 모두 민주주의의 가치를 공유한다는 공감대를 확인했다.
여의도는 늘 ‘정치 1번지’였다. 하지만 광장 집회의 물리적 위치와 문화적 위상은 확연히 바뀌었다. 1987년 혹한 속에 야당 대선후보 김대중이 연설했던 광장은 마포대교 건너 여의도공원이었다. 당시 아스팔트 비행장 위를 까맣게 매운 130만 시민은 권력에 저항하는 함성을 내질렀다. 군사정권 시대를 끝내겠다는 절박함으로 대중정치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서강대교를 넘어 국회 앞으로 옮긴 오늘날의 광장은 달랐다. 형형색색 응원봉들이 반짝였다. ‘전국 누워있기 연합’, ‘한국 마법소녀 협동조합’, ‘집에 가고 싶은 사람들’…. 재치 만발한 깃발들이 펄럭이는 공간이었다. 의사들은 부상을 대비해 의료 봉사에 나섰다. 추위를 이겨 내라며 거리 곳곳에는 핫팩이 비치됐다.
계엄 사태를 빚은 대통령의 담화는 극우 유튜버의 논리를 그대로 답습했지만 그런 확증편향에 시민들의 경계심은 더 커진다. 계엄을 경험하게 해서 미안하다며 기성세대는 커피와 식사를 선결제했다. 청년들은 이렇게 좋은 대한민국을 망가트리지 않겠다며 추위 속에서 춤추며 광장을 지켰다. 중년들은 호기심 어린 눈으로 어느 가수의 응원봉인지 물었다. 엑스(옛 트위터)에서는 다음 집회를 위해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를 외우자는 제안도 공유됐다. 광화문의 보수 집회도 질서정연했다.
민주주의는 지금 진지하고 유쾌하게 성장판을 키우는 중이다. ‘시민 광장’이 여의도공원에서 국회 앞으로 자리를 옮겨간 30여년. 민주주의 초병인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위해서라면 ‘산’도 옮겨 놓을 것 같다.
2024-12-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