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활기의 착각/황성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활기의 착각/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17-08-06 22:34
수정 2017-08-06 22: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는 곳이 20~30대, 심지어는 10대까지 몰리는 지역과 가깝다. 몇 해 전 집을 구할 때 이런 곳이라면 나이 들어서도 젊은 사람들과 섞여 ‘노년의 활기’를 잃지 않을 수 있는 환경일 것이라 생각했다. 시내에서 멀지 않고, 산책하기 편한 곳이란 점에 더해 ‘주말의 런치’를 걸어서 즐길 수 있는, 마치 광고 카피 같은 입지라는 생각에 아내도 동의했고, 해서 잠깐 고민한 끝에 이사를 했다. 옛날 같으면 큰마음 먹고 전철 타고 식사하러 올 곳인데 지금은 걸어서 10분 거리에 구경거리도 많은 곳이라 처음에는 신기하고 즐거웠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였다. 젊은이들로 가득한 곳은 함께 앉아서 속 편히 밥 하나 먹기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 데에는 그리 많은 시간을 요하지 않았다. 얼마 전 TV에서 주인공이 맛깔나게 즐기는 스튜가 먹고 싶어 맛집을 검색해 갔더니, 스무 살 전후의 남녀로 가득했다. 순간 당황했다. ‘다른 집에 가자’, ‘굳이 옮길 것 있냐’ 아내와 실랑이를 벌이다 결국 가게를 나섰다. 눈치코치 없는 ‘어른’이 되고 싶지는 않았다. 활기도 나이에 어울려야 하는 것인가, 조금 더 생각해 볼 과제다.
2017-08-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