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한겨울/최용규 논설위원

[길섶에서] 한겨울/최용규 논설위원

최용규 기자
입력 2017-01-06 22:40
수정 2017-01-07 0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러시아워. 대로에 스멀스멀 차량이 기어오른다. 창밖 한강변은 비운의 투탕카멘이 잠든 나일강변을 닮았다. 공히 2리나 3리쯤 될까. 허우대만 멀쩡한 물 폭, 청명과 다른 희한한 물색이 슬픔을 채색한다. 강 너머 물담배 파이프의 묘한 향이 음습함을 스멀스멀하게 하는 카이로 칸엘칼릴리. 이웃사촌이라 해도 시비 못 걸 보스포루스 해협의 이스탄불 그랜드바자르, 그리고 남대문시장과 닮아도 너무 닮았다.

찬 바람이 휘감은 한강변 형형색색은 낯선 이방인을 품어준 카이로 불빛으로 되살아나 뇌리를 스친다. 한겨울, 시인들은 회색 구름, 나그네, 고단한 육신을 노래했다. 물담배 파이프는 안 물었지만 묘한 향이 스멀스멀하다. 꽃이 피었다 지는 것처럼 인간의 영고성쇠는 불변의 진리. 이를 누가 모르랴. 알지만 ‘쇠’를 더디게 하고 싶은 것이 욕망이요, 본능이다. 지난 5일 한강 남쪽 A병원. “확실히 ○○○병이구먼. 세포가 다 죽었어. 보이죠.” 그러나 반전이 일어난다. “손 이렇게… 자 걸어보세요. 어~ 굉장히 좋아졌네. 괜찮아 ○○○으로 죽지 않아요. 걱정 말고 돌아가세요.” 한겨울, 명의의 한마디에 화색이 돌고, 입춘이 기다려진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7-01-0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