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희경 기자의 출근하는 영장류] 흡혈귀와 늑대인간

[홍희경 기자의 출근하는 영장류] 흡혈귀와 늑대인간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7-06-06 17:54
수정 2017-06-06 18: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희경 사회부 기자
홍희경 사회부 기자
흡혈귀와 늑대인간은 꽤 비슷한 습성을 지녔다. 밤에 활동하고, 사람을 해치거나 물어서 같은 종족으로 만든다. 그러나 또한 차이가 있다. 늑대인간이 부랑자 같다면, 흡혈귀는 성 위에서 군림하는 인상이다. 따로 떠올렸을 때 ‘그저 괴물’인 둘을, 권력을 쥐면 흡혈귀, 권력에서 배척되면 늑대인간으로 구분하는 통찰은 상징과 비교 덕분에 가능해진다.

미국의 인류학자이자 사회운동가인 데이비드 그레이버가 저서 ‘관료제 유토피아’에서 흡혈귀와 늑대인간의 예를 든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복잡한 세상을 그 모습 그대로 다루는 일은 불가능에 가까우니 상징을 통해 통찰을 얻으라고 그레이버는 조언했다.

현실을 상징을 통해 이해하는 일 못지않게 거대한 상징을 품은 개념을 해체하는 일도 복잡한 세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실상 많은 제도와 개념이 이미 정립된 요즘엔 과거에 정해진 개념을 현 상황에 맞춰 재구성하는 일이 매우 자주 필요하다. 우리가 처한 상황을 잘못 재단한 뒤 잘못 이름 붙이는 단계를 지나 잘못 처방하기까지 한다면, 현안을 풀 길이 요원해지기 때문이다.

단어에 현혹되면 안 된다며 그레이버는 ‘규제 철폐’란 말을 예로 들었다. 1970년대 항공 부문에서 ‘규제 철폐’는 중소기업의 시장진입 장벽을 낮추는 쪽으로 작용했지만, 요즘 금융업 부문에서 ‘규제 철폐’란 보호 장치를 없애 중소 규모의 회사를 퇴출시킬 때 활용된다. 사람들은 ‘규제 철폐’란 말에서 완전에 가까운 시장 작동을 떠올리지만, 처한 시대와 적용되는 산업, 그리고 경기 상황에 따라 ‘규제 철폐’란 말 안엔 매번 판이한 내용들이 담긴다. 실상 ‘규제 철폐’라고 쓰고 ‘권력 마음대로 규제 구조 바꾸기’가 자행돼 왔다.

현안을 몇 가지 개념으로 특정 지은 뒤 반대말을 활용한 구호를 불쑥 들이미는 일은 통쾌하지만 공허하다. 검찰 대 비검찰, 군 대 민간, 대기업 대 중소기업, 재계 대 노동계. 입에 착 붙는 대구(對句)이지만, 이들을 대립시키는 방식으로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잘 잡히지 않는다. 새 정부가 검찰, 군, 대기업, 재계를 개혁하려면 비검찰, 민간, 중소기업, 노동계를 우대하는 반사적 리액션 그 이상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개혁 대상의 현재 속성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작은 정부’를 반대하기 위해 ‘큰 정부’란 구호를 내세운 뒤 그 내용을 공공 일자리를 늘리는 말 그대로의 ‘덩치 큰 정부’라는 개념으로 채우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실상 ‘작은 정부’의 문제를 해결할 복안은 복지 사각과 불공정 거래를 방치하지 않는 ‘역할이 큰 정부’에 있는데 말이다.

리액션이 전략의 전부일 때의 공허함을 설명하기 위해 그레이버는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도 끌어들였다. 만화 원작 출신인 이 슈퍼 히어로들은 악에 반응할 뿐 스스로 변화를 모색하지 않는다. 정작 악당들은 세상을 바꾸겠다고 온갖 창조적 계획을 감행하는데, 슈퍼맨은 악당이 파괴할 때에만 존재의 의미를 드러낸다. 악당에 기생하듯 말이다.

현실을 정말 고쳐 내고 싶다면, 리액션 그 이상이 필요하다.

2017-06-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