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남산 순환도로의 스키어

[DB를 열다] 남산 순환도로의 스키어

입력 2013-01-01 00:00
수정 2013-01-01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62년 2월 5일 남산의 비탈길에서 스키를 타는 학생의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비탈길이란 바로 지금의 순환도로다. 그때의 남산순환도로는 비포장으로 일반 자동차가 다니지 못했다. 겨울이면 눈놀이 장소로 사람들이 즐겨 찾았고 간혹 스키를 타는 사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당시로서는 스키는 보통 사람은 구경하기 힘든 고급 스포츠였다. 1960년대에는 겨울철이면 얼어붙은 한강에 스케이트장이 설치되어 스케이트를 탈 수 있었다. 또 덕수궁 연못과 창경궁 연못도 스케이트장으로 개방되었다. 동대문 실내스케이트장이 문을 연 것은 1963년이다.

남산순환도로는 일제가 1936년 만들었다. 비포장 상태로 있다가 1970년에 포장을 했다. 일제는 1925년 옛 남산식물원 자리에 조선신궁이라는 신사를 세우고 참배를 강요했다. 또 남산 한옥마을 자리에 일본군 헌병대 사령부를 두었고, 옛 국가안전기획부 옆에는 통감 관저를 지었다. 이런 시설들을 짓기 위해 남산을 훼손하고 도로도 내었다.

이 사진은 당시 서울신문 사진부 박찬갑 기자가 사고로 순직하기 얼마 전 촬영한 것이다. 고 박찬갑 기자는 1962년 2월 18일 대관령에서 열린 전국동계체육대회 스키 경기를 취재하고 돌아오다가 비행기 조난 사고로 사망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1-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