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그룹, 배·전·반 사업에 속도… 국내외 투자 늘린다

LS그룹, 배·전·반 사업에 속도… 국내외 투자 늘린다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5-06-26 00:54
수정 2025-06-26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미국 텍사스주에 위치한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내부. LS그룹 제공
미국 텍사스주에 위치한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내부.
LS그룹 제공


LS그룹이 전방위적인 탄소 배출 없는 전력(CFE)과 배·전·반(배터리·전기차·반도체) 관련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LS전선은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DC) 산업 성장에 맞춰 지난 4월 미국 버지니아주에 해저케이블 공장을 착공했다. 7만㎡ 규모로 2027년 준공될 예정인 해저케이블 공장에는 세계 최고인 201m 높이의 전력 케이블 생산 타워와 피복 공장, 전용 항만시설 등이 포함됐다.

LS일렉트릭은 ‘전력 슈퍼사이클’을 맞아 대규모 증설에 나섰다. 부산사업장에 진공건조 설비(VPD) 2기를 증설하고 전 생산공정을 갖춰 2000억원 규모였던 생산능력을 7000억원 수준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LS MnM은 울산과 새만금에 1조 8000억원을 투자해 이차전지 소재를 생산하는 대규모 공장을 설립한다. 2027년 울산, 2029년 새만금 공장이 가동되면 연간 전기차 125만대에 들어가는 분량인 6만 2000t 규모의 황산니켈 생산이 가능하다.

LS트랙터는 미국에서 하비파머(취미 농사꾼)이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지난해 8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부품 창고를 개장했다. 텍사스주에는 조립공장을 설립해 연간 2만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E1은 에너지 시장 변화에 따라 2022년부터 경기 과천·고양, 서울 강서구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했다. 특히 과천 복합충전소에서는 LPG·수소·전기차 충전이 모두 가능하다.
2025-06-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