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까지 전 금융권 목표치 요구
가계대출 총액 전방위 관리 돌입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을 상반기 대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방침을 정하고 전 금융권에 목표치 제출을 요구했다.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과 대부업까지 점검 대상을 넓히고 가계대출 총액 전방위 관리에 돌입했다.금융감독원은 최근 시중은행, 저축은행, 그리고 상호금융업권 등 금융권 전체에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명시한 ‘가계대출 리스크 관리 계획’을 늦어도 오는 16일까지 제출하도록 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지난 6월 27일 금융위원회가 대출 총액을 6억원으로 제한한 부동산 대출 규제의 후속 대응으로 내놓은 것이다. 6·27 대출 규제로 각 금융권은 하반기 가계대출 공급량을 당초 계획 대비 50% 감축해야 하는데 이미 상반기 대출 목표치를 초과한 은행들은 하반기 대출 허용량이 더 줄어드는 ‘페널티’를 부과받는 셈이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등 은행권 가계대출 신청액은 이달 들어 속도가 줄고 있다. 대출 총액 제한이 생긴 데다 일부 은행이 비대면 대출 접수까지 일시 중단한 영향이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10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5조 7260억원으로, 6월 말(754조 8348억원)보다 8912억원 불었다. 하루 평균 약 891억원 늘어난 건데, 일별 증가폭이 6월(2251억원)의 40%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대출 규제가 온투업과 대부업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예의 주시하고 있다. 금융위는 온투업체의 아파트 담보 대출 취급 여부를 매일 점검하고 있으며 대부업 상위 10개사에 대출 현황 자료를 요청했다. 금감원은 온투업체에 ‘우회대출 창구’라는 인식을 줄 수 있는 광고를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고, 대부협회에도 회원사에 과도한 주담대 광고를 하지 말라고 했다.
2025-07-1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