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생리대 안전성 논란 이후 생리대 생산실적은 줄었지만, 면생리대의 생산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 생리대 매대 앞에서 한 소비자가 신중하게 생리대를 고르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받은 ‘최근 3년간 생리대 생산실적’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생리대 생산실적은 2천497억3천647만원이었다. 2016년 2천861억6천55만원과 견줘서 12.3% 감소한 것이다.
이에 반해 면생리대 생산실적만 따로 떼어내 살펴본 결과, 2016년도 21억2천456만원에서 2017년 약 3배인 61억2천663만원으로 증가했다.
남인순 의원은 “지난해 위해성 논란 뒤 ‘친환경’, ‘유기농’, ‘오가닉’ 등을 표방하는 생리대가 늘었는데, 허위·과장광고가 아닌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생리대 안전대책으로 이달부터 시행된 생리대 전성분표시제의 경우, 품목허가(신고)증에 기재된 성분만 표시하도록 돼 있기에 실제로 모든 성분이 표시되지 않는다는 지적에 식약처는 적극적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식약처는 이달부터 생리대와 마스크, 구강 청결용 물휴지 등의 지면류 의약외품도 허가증 및 신고증에 기재된 모든 성분의 명칭을 용기나 포장에 의무적으로 표기하는 내용의 약사법 일부 개정안이 시행에 들어갔다.
생리대는 몸에 바로 닿는 물품이기에 표시되지 않은 성분으로 알레르기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문제의식으로 그간 일회용 생리대의 전 성분을 표시하고 유해물질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많이 나왔다.
연합뉴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서울의 한 대형마트 생리대 매대 앞에서 한 소비자가 신중하게 생리대를 고르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이에 반해 면생리대 생산실적만 따로 떼어내 살펴본 결과, 2016년도 21억2천456만원에서 2017년 약 3배인 61억2천663만원으로 증가했다.
남인순 의원은 “지난해 위해성 논란 뒤 ‘친환경’, ‘유기농’, ‘오가닉’ 등을 표방하는 생리대가 늘었는데, 허위·과장광고가 아닌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생리대 안전대책으로 이달부터 시행된 생리대 전성분표시제의 경우, 품목허가(신고)증에 기재된 성분만 표시하도록 돼 있기에 실제로 모든 성분이 표시되지 않는다는 지적에 식약처는 적극적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식약처는 이달부터 생리대와 마스크, 구강 청결용 물휴지 등의 지면류 의약외품도 허가증 및 신고증에 기재된 모든 성분의 명칭을 용기나 포장에 의무적으로 표기하는 내용의 약사법 일부 개정안이 시행에 들어갔다.
생리대는 몸에 바로 닿는 물품이기에 표시되지 않은 성분으로 알레르기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문제의식으로 그간 일회용 생리대의 전 성분을 표시하고 유해물질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많이 나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