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없지만 하라니까”“부장 의중 맞춰” 비효율·삽질·노비… 기업 업무방식 45점

“의미 없지만 하라니까”“부장 의중 맞춰” 비효율·삽질·노비… 기업 업무방식 45점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8-10-10 22:22
수정 2018-10-10 23: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한상의, 직장인 4000명 조사

71% “회사 업무에서 보람 못 느낀다”
“이심전심·상명하복 문화가 근본 원인”
서울 중구에 본사가 있는 한 대기업 A차장은 종종 자신이 ‘보고서를 쓰는 인공지능(AI)’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밤을 꼬박 새우며 같은 보고서의 ‘버전 2’, ‘버전 3’, ‘버전 4’ 등을 만들기 때문이다. 지시받은 사항에 맞춰 충실하게 작성했지만 부장과 상무, 전무를 거치다 보면 “이게 뭔가?”라며 퇴짜 맞기 일쑤다. A차장은 부장이 흡족해할 보고서를 만들어 통과한 뒤 상무의 의중에 맞춰 고치고, 또 전무가 승인해 줄 것 같은 보고서로 뜯어고치는 요령을 터득했다. A차장은 “의욕에 넘쳐 작성했던 보고서가 ‘버전 5’에 이르면 영혼 없는 보고서가 돼 버린다”고 토로했다.

회사의 비효율적인 업무방식에 분통을 터뜨리는 직장인은 비단 A차장뿐만이 아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0일 발표한 ‘국내 기업의 업무방식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상장사에 재직 중인 직장인 4000여명은 우리나라 기업의 업무방식에 대해 100점 만점에 45점을 매겼다. 구체적으로는 업무 방향성 30점, 지시 명확성 39점, 추진 자율성 37점, 과정 효율성 45점 등으로 직장인들이 느끼는 국내 기업의 일하는 방식은 전반적으로 ‘낙제점’이었다.

업무과정이 비합리적인 이유로는 ‘원래부터 의미 없는 업무’(50.9%)가 첫 번째로 꼽혔다. ‘전략적 판단 없는 ‘하고 보자’식 추진 관행’(47.5%), ‘의전·겉치레에 과도하게 신경’(42.2%), ‘현장실태 모른 채 톱다운(하향식)식 전략 수립’(41.8%), ‘원활하지 않은 업무소통’(40.4%), ‘상사의 비계획적 업무지시’(38.8%)가 뒤를 이었다. 업무에 대한 직장인들의 인식도 부정 일색이었다. ‘업무방식’ 하면 떠오르는 단어 중 ‘비효율’, ‘삽질’, ‘노비’, ‘위계질서’ 등의 부정적인 단어가 86%를 차지한 반면 ‘합리적’, ‘열정’, ‘체계적’과 같은 긍정적인 단어는 14%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71.0%는 회사 업무에서 보람을 느끼기 힘들다고 답했으며, 57.4%는 자신이 회사의 소모품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점수는 57.5점에 그쳤다.

그러나 상급자로 갈수록 업무방식에 대한 인식 차도 커졌다. 업무 합리성에 대해 사원의 긍정 응답률은 32.8%였으나 임원은 69.6%에 달했다. 동기 부여에 대한 긍정 답변율도 사원은 20.6%, 임원은 60.9%였다. 보고서는 “왜에 대해 고민하고 협의하지 않는 리더십과 ‘이심전심’, ‘상명하복’을 바라는 소통문화가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8-10-1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