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업에서 노동자 1명을 채용하는 데 월평균 502만원의 비용이 든 것으로 조사됐다. 300인 미만 중소·중견기업과 300인 이상 대기업 간의 노동비용 격차는 2016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23일 내놓은 ‘2017 회계연도 기업체 노동비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용직 노동자 10명 이상 기업체 3526곳의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2016년보다 1.8% 늘어난 502만 3000원이다. 이번 조사는 2017년 회계연도 기준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최저임금의 가파른 인상에 따른 효과는 사실상 반영되지 않았다.
지난해 노동자 1명당 직접 노동비용은 399만 5000원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고, 간접 노동비용은 102만 9000원으로 3.2% 늘었다. 노동비용은 상여금·정액급여 등 임금을 말하는 ‘직접 노동비용’과 퇴직급여, 4대 보험료, 법정외 복지비용, 채용·교육훈련비를 합한 ‘간접 노동비용’으로 구성된다.
직접 노동비용 가운데 정액·초과급여는 323만 7000원으로 2016년보다 2.0% 늘었으나, 상여금·성과급은 0.7% 감소한 75만 8000원을 기록했다. 간접 노동비용은 교육·훈련비용(8.1%), 법정 외 복지비용(6.8%), 채용 관련 비용(5.9%), 4대 보험료 등 법정노동비용(2.9%), 퇴직급여(1.6%) 등 모든 항목이 증가했다. 법정 외 복지비용은 주거비·식사비·자녀학비 보조 등 기업이 노동자의 복지를 위해 지출하는 금액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기업의 상용직 노동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407만 9000원으로, 2016년(394만원)보다 3.5% 증가했다. 반면 300인 이상 기업의 노동비용은 2016년 625만 1000원에서 0.5% 줄어든 622만 2000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월급·상여금 등 직접 노동비용은 300인 미만 기업이 300인 이상 기업의 70.8% 수준이었지만, 간접 노동비용은 300인 미만 기업이 300인 이상 기업의 48.3%에 그쳐 여전히 큰 격차를 보였다. 특히 교육 훈련비는 300인 이상 기업의 13.6%에 불과했으며, 채용 관련 비용도 32.2% 수준이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8-08-2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