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이 동시에 ‘팔자’에 나서면서 23일 코스닥 지수는 속절없이 무너졌다. 코스닥은 4.38% 주저앉으면서 지난 3월 23일(-4.81%) 이후 가장 많이 떨어졌다. 756.96에 마감하며 지난해 12월 21일(740.32) 이후 7개월만에 최저점을 기록했다.
코스닥은 이날 하루 4.38%(34.65포인트) 급락하면서 756.96에 737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유가증권(코스피) 시장에서는 개인투자자들이 1410억원어치를, 외국인은 82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전문가들은 이날 바이오주 관련 악재가 터졌다기보다는 코스닥 지지선이 무너지면서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다고 진단했다. 앞서 네이처셀 대표 구속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 등이 터지면서 바이오주에 대한 우려가 퍼졌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류용석 KB증권 시장전략팀장은 “바이오주들은 다른 종목에 비해 조정폭이 작아 밸류에이션 부담이 컸다”면서 “240일 선인 790포인트와 박스 하단인 815포인트가 동시에 무너지면서 외국인과 기관의 로스컷(손절매) 매물이 나오고 개인 신용 매물이 나왔다”라고 말했다
당장 글로벌 바이오 신약 산업에서 호재가 발표되지 않는다면 2~3일 동안 하락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류 팀장은 “낙폭이 컸던 현대차나, 통신주, 보험주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줄어 반등을 보이고 있다”면서 “임상 성공 등이 발표되지 않는다면 코스닥은 바이오 종목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코스닥은 이날 하루 4.38%(34.65포인트) 급락하면서 756.96에 737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유가증권(코스피) 시장에서는 개인투자자들이 1410억원어치를, 외국인은 82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전문가들은 이날 바이오주 관련 악재가 터졌다기보다는 코스닥 지지선이 무너지면서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다고 진단했다. 앞서 네이처셀 대표 구속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 등이 터지면서 바이오주에 대한 우려가 퍼졌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류용석 KB증권 시장전략팀장은 “바이오주들은 다른 종목에 비해 조정폭이 작아 밸류에이션 부담이 컸다”면서 “240일 선인 790포인트와 박스 하단인 815포인트가 동시에 무너지면서 외국인과 기관의 로스컷(손절매) 매물이 나오고 개인 신용 매물이 나왔다”라고 말했다
당장 글로벌 바이오 신약 산업에서 호재가 발표되지 않는다면 2~3일 동안 하락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류 팀장은 “낙폭이 컸던 현대차나, 통신주, 보험주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줄어 반등을 보이고 있다”면서 “임상 성공 등이 발표되지 않는다면 코스닥은 바이오 종목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