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직원 평균연봉 6천707만원…연봉왕은 한국투자공사

공공기관 직원 평균연봉 6천707만원…연봉왕은 한국투자공사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4-30 13:27
수정 2018-04-30 16: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투자공사 사장 연봉 4억1천420만원, 직원 평균연봉 1억1천103만원

이미지 확대
한국투자공사
한국투자공사
지난해 공공기관 상임 기관장 평균 연봉이 3년 만에 다시 감소세로 반전했다.

공공기관 중 기관장과 직원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모두 한국투자공사였다.

[표] 공공기관장 상임기관장 연봉 순위(단위:천원, 자료=알리오)

┌─┬─────────┬─────┬────┬────┬────┬────┐

│ │기관명 │2013 │2014 │2015 │2016 │2017 │

├─┼─────────┼─────┼────┼────┼────┼────┤

│1 │한국투자공사 │385483 │407500 │329421 │395920 │414195 │

├─┼─────────┼─────┼────┼────┼────┼────┤

│2 │중소기업은행 │533254 │362296 │372500 │386385 │385284 │

├─┼─────────┼─────┼────┼────┼────┼────┤

│3 │한국예탁결제원 │251569 │199263 │260815 │331766 │331252 │

├─┼─────────┼─────┼────┼────┼────┼────┤

│4 │국립암센터 │319276 │294936 │328028 │313864 │314044 │

├─┼─────────┼─────┼────┼────┼────┼────┤

│5 │기초과학연구원 │297277 │295780 │307380 │313007 │313037 │

├─┼─────────┼─────┼────┼────┼────┼────┤

│6 │한국수출입은행 │533254 │362296 │318156 │183299 │307518 │

├─┼─────────┼─────┼────┼────┼────┼────┤

│7 │한국산업은행 │498043 │335124 │365495 │183379 │307438 │

├─┼─────────┼─────┼────┼────┼────┼────┤

│8 │한국과학기술원 │390240 │390240 │401080 │401080 │283400 │

├─┼─────────┼─────┼────┼────┼────┼────┤

│9 │국가과학기술연구회│0 │200370 │224797 │225708 │267193 │

├─┼─────────┼─────┼────┼────┼────┼────┤

│10│한국과학기술연구원│188242 │166565 │171127 │173876 │262808 │

└─┴─────────┴─────┴────┴────┴────┴────┘

30일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인 알리오(http://www.alio.go.kr)에 따르면 지난해 330개 공공기관 상임 기관장의 평균 연봉은 1억6천322만원이었다.

이는 전년(1억6천523만원)보다 1.2% 줄어든 것이다.

2013년 1억6천80만원이었던 공공기관 상임 기관장 평균 연봉은 이듬해 1억5천124만원으로 감소한 뒤 2015년 1억5천957만원, 지난해 1억6천523만원으로 늘어났다가 다시 감소세로 반전했다.

한국투자공사(KIC) 사장 연봉은 4억1천420만원으로 작년(3억9천592만원)보다 4.6%인 2천만원 가까이 늘어나면서 1위로 올라섰다.

중소기업은행장이 3억8천528만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고, 한국예탁결제원장(3억3천125만원), 국립암센터장(3억1천404만원), 기초과학연구원장(3억1천304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수출입은행장(3억752만원)과 한국산업은행 회장(3억744만원)은 각각 6, 7위로 3억원대에 턱걸이를 했다. 지난해 1위였던 한국과학기술원(KAIST)장은 2억8천340만원을 기록, 8위로 떨어졌다.

기관장 연봉이 가장 낮은 곳은 한국사회복지협의회장(3천600만원), 대한적십자사 회장(4천468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공공기관 유형별로 보면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의 상임 기관장 평균 연봉이 1억9천6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준시장형 공기업(1억8천40만원), 시장형 공기업(1억6천698만원),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1억6천820만원) 등의 순이었다.

기타공공기관 상임 기관장 평균 연봉은 1억5천748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이사 평균 연봉은 1억4천185만원, 감사 평균 연봉은 1억5천12만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소폭 줄었다.

[표] 공공기관 정규직 직원 평균 연봉(단위:천원, 자료=알리오)

┌─┬────────┬───┬───┬───┬───┬────┐

│ │기관명 │2013 │2014 │2015 │2016 │2017 │

├─┼────────┼───┼───┼───┼───┼────┤

│1 │한국투자공사 │98373 │108820│103154│105428│111029 │

├─┼────────┼───┼───┼───┼───┼────┤

│2 │한국예탁결제원 │101021│100691│106002│109185│109614 │

├─┼────────┼───┼───┼───┼───┼────┤

│3 │한국전자통신연구│95777 │94718 │98009 │99872 │107262 │

│ │원 │ │ │ │ │ │

├─┼────────┼───┼───┼───┼───┼────┤

│4 │한국전기연구원 │96268 │96417 │96652 │98134 │102458 │

├─┼────────┼───┼───┼───┼───┼────┤

│5 │울산과학기술원 │85302 │86030 │92386 │97656 │101985 │

├─┼────────┼───┼───┼───┼───┼────┤

│6 │한국산업은행 │89919 │91518 │96393 │95951 │101781 │

├─┼────────┼───┼───┼───┼───┼────┤

│7 │한국원자력연구원│98728 │94489 │98666 │97483 │99789 │

├─┼────────┼───┼───┼───┼───┼────┤

│8 │한국생산기술연구│96375 │84157 │96382 │92582 │99700 │

│ │원 │ │ │ │ │ │

├─┼────────┼───┼───┼───┼───┼────┤

│9 │한국과학기술원 │96375 │98723 │98814 │98384 │99438 │

├─┼────────┼───┼───┼───┼───┼────┤

│10│광주과학기술원 │88849 │92958 │96875 │98404 │99155 │

└─┴────────┴───┴───┴───┴───┴────┘

작년 공공기관 정규직 직원 평균 연봉은 6천707만원으로 전년(6천606만원)보다 1.5% 상승했다.

공공기관 정규직 직원 평균연봉은 2013년 6천300만원에서 2014년 6천355만원, 2015년 6천491만원, 2016년 6천606만원으로 늘어나 공시대상기간인 최근 5년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공공기관 중에서도 15개 시장형 공기업의 작년 정규직 직원 평균 연봉은 8천192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공공기관 정규직 직원 연봉 1위는 한국투자공사로 1억1천103만원에 달했다. 한국투자공사는 예탁결제원을 제치고 3년만에 1위로 올라섰다.

2015∼2016년 1위였던 예탁결제원은 1억961만원으로 2위로 떨어졌다.

이외에 박사급 직원이 많은 공공기관이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었다.

3∼5위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1억726만원), 한국전기연구원(1억246만원), 울산과학기술원(1억199만원)이 각각 차지했다.

6위 한국산업은행의 직원 평균 연봉은 1억178만원으로 마지막으로 1억원에 턱걸이했다.

7위는 한국원자력연구원(9천979만원), 8위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9천970만원), 9위는 한국과학기술원(9천944만원), 10위는 광주과학기술원(9천916만원) 등이었다.

중소기업은행(9천886만원), 한국수출입은행(9천829만원)은 각각 11, 12위를 차지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가재울 맨발길 황톳길 정비 완료”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수색로변 DMC래미안e편한세상아파트 옆에 위치한 ‘가재울 맨발길’ 약 450mm 구간의 황톳길 정비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맞은편 철길 주변에는 반려견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주민들의 관심이 높았던 지역이다. 그동안 가재울 맨발길은 나무뿌리, 돌부리, 모래 등으로 인해 맨발로 걷기에 불편하다는 주민들의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최근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맨발 걷기가 큰 인기를 얻으며 서대문구 안산 등 여러 곳에 맨발길이 조성됐지만, 가재울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었다. 이에 김 의원은 남가좌동과 북가좌동 주민들로부터 다수의 민원을 받아 맨발길 정비를 강력히 종용하였고, 이번 정비를 통해 맨발길은 황토 30%와 마사토 70%를 혼합해 걷기 좋게 개선됐으며, 주변 녹지 환경 정비와 간이 운동 시설, 벤치 등이 새롭게 설치되어 앞으로 가재울 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전망이다. 김 의원은 “시의원을 비롯한 지방의원의 역할은 정책 개발과 더불어 지역 주민과 소통하며 서울시 예산을 확보해 지역 발전과 지역 주민의 편익을 도모하는 것이 주된 업무”라고 강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가재울 맨발길 황톳길 정비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